좋은주식을 고르는 요소중의 하나가 ROE인데요, 지난실적과 대비해 얼만큼의 성장을했는지 순이익에 대한 증가를 수치화한것입니다.
그렇다면 ROE가 높다고하는건 자연스럽게 기업이 성장하고있다는 의미로도 볼수 있는데 기업의 성장은 당연히 주가로 반영될수밖에 없기 때문에 잘 살펴볼 항목이고, 더 중요한건 얼마나 상승세가 이어질것인가를 분석해하는 겁니다.
투자의 달인으로 잘 알려진 미국의 기업인 워렌버핏의 경우 ROE가 매실적 20%이상늘어나는 정도라면 괜찮은 주식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합니다.
그렇다면 기본적으로 ROE는 플러스흐름이어야 좋다는건 쉽게 알수 있을텐데요, 그렇다면 반면 ROE가 20%이하의 주식은 나쁜주식이냐. 꼭 그렇지많은 않습니다.
10%가 되었던 15%가 되었던 적자를 보는것이 아니고 회사가 성장은 하고있는셈이니까요. 수치가 높으면 높을수록 더 좋긴하겠죠.
다만 한자리수의 성장률이라면 손해를 보는상황은 아니니 나쁘지는 않겠지만 주가상승으로 연결되기 위한 동력은 약하다고 볼수있을겁니다. 그렇게 때문에 성장률이 낮은기업의 투자를 즉각결정하는것 보다는 관심종목으로 지켜보면서 ROE가 10%이상 상승할때를 노려보는것도 방법이 될수 있을텐데요.
ROE가 높다는건 그만큼 당기순이익을 많이 내고 효율적인 영업을 했다는 증거기 때문에 이 수치가 높다면 그만큼 투자수익률이 높아진다고 볼수 있기도 합니다.
ROE에 대해서 감을 잡아보시는데 도움이 되시면 좋겠네요.
자기자본이익률(ROE) = 당기순이익/평균 자기자본 ×100